본문 바로가기
트레이딩 공부

FETUSDT 코인차트 공부(인공지능테마)

by 런포미 2024. 1. 18.
반응형

FETUSDT 코인차트 개요

https://coinmarketcap.com/ko/currencies/fetch/

 

Fetch.ai (FET) 가격, 차트, 시가총액 | 코인마켓캡

The live Fetch.ai price today is ₩894.73 KRW with a 24-hour trading volume of ₩82,060,005,169.76 KRW. We update our FET to KRW price in real-time.

coinmarketcap.com

 

코인테마 참조

https://coinness.com/market/theme

 

코인니스 마켓 - 테마

테마별 코인 정보 및 테마의 상승/하락 트렌드를 알 수 있습니다.

coinness.com

 

FET 코인이다.

지난번에도 한 번 다룬 적이 있다.

https://learnforme.kr/entry/FETUSDT-%EC%BD%94%EC%9D%B8%EC%B0%A8%ED%8A%B8%EA%B3%B5%EB%B6%80

 

FETUSDT 코인차트공부

수익남이 되고자 늘 반성하는 런포미입니다. 오늘의 차트는 FETUSDT입니다. 지지와 저항을 그어놓은지 꽤 지났지만 이제야 나머지 것들을 채워봅니다. FETUSDT 월봉 FETUSDT 월봉이다. 변동이 굉장히

learnforme.kr

테마 별로 다루기 위해 부득이 예전 차트도 한번 더 돌아본다.

다시 차트를 정리하고 선을 그어보니 더 간결해지고 잘 보인다.

오늘은 인공지능 테마, FETUSDT 코인차트부터 시작해 본다.

 

FETUSDT 코인차트 월봉(1달)

오늘은 차트 그려가는 순서가 조금 뒤죽 박죽이다.

월봉부터 그어가면서 캡처를 해놓는데 오늘은 깜빡해 버렸다.

차트가 조금 지저분하다.

붉은색 선이 월봉의 지지저항이다.

내려가는 추세를 멈추고 올라와 마지막 저항에서 멈추고 있다.

 

FETUSDT 코인차트 주봉(1주)

주봉에서 파란색 선을 더한다.

주봉에서는 MACD가 0으로 수렴한 구간부터 보면 된다.

과매도 구간이 끝나고 본격적으로 추세가 상승하는 안전구간이기 때문이다.

FETUSDT 코인차트 일봉(1일)

지금 현재 오르기 전 다이버전스 구간이 보인다. 

이 부분은 RSI보단 MACD를 봐야 한다.

상단의 넥라인도 잡힌다.

밑변의 삼각형의 각도가 점차 높여가기 시작한다.

수렴하면서 점차 상승으로 움직이기 위한 것이다.

넥라인을 돌파하고 이평선을 정배열로 전환시키면서 현재의 차트를 유지 중이다.

 

지금의 가격은 마지막 저항구간이다. 

월봉상의 저항이기 때문에 바로 올라가기보단 한 차례 눌림을 줄 것으로 보인다.

개인적인 차트 분석에서는 화살표로 표시를 해두었지만 여기 차트에서는 지웠다.

일단 지지저항을 기준으로 박스만 그려놓았다.

이 박스는 이평선의 200일선과도 맡닿는 지점이다. 

박스 하단까지 지지하는 것은 장기 이평선이 지지하는 점과 겹친다.

좋은 신호다.

이미 박스 상단이기도 하고 4시간 차트에서는 수렴구간이기 때문에 상승을 바라보려면 들어가려면 손절가를 짧게 해야 한다.

 

FETUSDT 코인차트 일봉(1일) 과거

과거 차트도 같이 본다.

추세를 멈추고 바닥을 찍은 구간이다.

역추세 구간이기도 하다.

다이버전스를 찍어준다.

RSI 명확한 신호를 보내고 있으며

MACD 또한 0 수렴이다.

그리고 조금 더 큰 관점에서 바라보면 MACD의 다이버전스 시작점은 지금 월봉의 마지막 저항과 겹친다.

 

하락추세선에 맞추어 채널을 만들어 본다.

여전히 박스가 그려진다.

채널을 탈출하였다. 복귀한 것은 잘 봐둬야 한다.

그리고 더 이상 하락보다는 괴리율을 만들면서 지반을 다지는 박스를 그려나가는 패턴 또한 잘 기억해야 한다.

다이버전스를 완성시키는 골파기 구간까지 아주 잘 보인다. 

채널의 유용성은 여기서도 나온다.

골파기 구간의 하단의 지점이 지지선의 작용을 하면서 채널 상단까지 그대로 가버리기 때문이다.

다이버전스가 제대로 걸리기 시작하면 다이버전스가 시작된 지점에서 채널의 상하단은 높은 확률로 찍어준다.

이번에도 다이버전스가 확정되자마자 상단을 찍고 눌려준다음 채널을 돌파하여 다음 지지와 저항구간에 도달한다.

여기서의 채널의 상단은 헤드엔숄더의 넥라인구간이다.

타점은

1. 채널을 이용한 다이버전스 예상 구간

2. 채널의 상단 혹은 넥라인 구간

3. 헤드 앤 숄더가 만들어지고 채널을 돌파구간

4. 헤드 앤 숄더의 넥라인 돌파

 

과거 차트이지만 많은 공부가 된다.

부지런히 보고 지식과 지혜를 쌓아가자.

2번의 박스를 그리고 3번째 박스를 그려줄지 지켜보자.

돌파할지 눌러줄지 상황에 맞는 시나리오대로 매매를 해나가야 한다.

 

반응형